본문 바로가기

덕질

양주시 읍면동별 지명유래 (2014)

 

백석읍
[백석]은 조선 시대부터 사용되던 용어로 전국 어디에나 존재한다. [백석]이라는 땅 이름이 존재하는
대부분의 지역을 보면 큰 들판이라는 뜻을 지닌 [한들]이 변하여 [한돌], [흔돌], [흰돌]을 거쳐 [백석]
이 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홍복산을 넘어오든 유양동에서 양주산성을 넘어오든, 현재의 백석
지역에서 넓은 들판이 제일 먼저 눈에 띄기 때문이다. 아마도 이 지역을 오갔던 옛사람들에게 산을
넘자마자 눈앞에 펼쳐진 넓은 들판이 크게 인상에 남아서 땅 이름을 붙이는 과정에서 한들이라고 하
였을 것이다.


광적면
광적면(廣積面)은 광석면(廣石面)에서 [광]자와 석적면(石積面)에서 [적]자를 따서 만든 이름이다. 광
석면이라는 이름은 현재의 광석리에 펼쳐져 있는 넓은 들판에서 비롯되었다. 즉, 넓은 들판을 의미하
는 [너븐달]이 [너븐돌]로 읽히고 이것이 한자로 표현되는 과정에서 [광석(廣石)]이 되었다. 석적면도
들판과 관련이 있는 이름이다. 즉, 들판이 계속 펼쳐진 곳을 한자로 옮기는 과정에서 [석적(石積)]으
로 표기하였다. 따라서 광적면의 땅 이름은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에 있는 넓은 들판에서 유래하였다.


남면
남면(南面)이라는 땅 이름은 감악산 남쪽에 있는 지역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실제 남면의 출발
은 파주 적성군에서 시작하였으므로 남면이라는 땅 이름은 당연한 것이었으나, 양주로 편입된 이후
에는 양주 지역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하고 있는데도 남면이라는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
서 외부 사람들은 양주시에서 북쪽에 위치하는데도 남면이라 불리는 것에 의아해한다.
그러나 땅 이름에는 의미가 있는 것이기에 남면이라는 이름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은현면
1914년 일제의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기존의 묵은면(默隱面)과 현내면(縣內面)의 대부분 지역을 합
치면서, 묵은면의 [은]자와 현내면의 [현]자를 따서 은현면(隱縣面)이라고 하였다.


장흥면
장흥(長興)이라는 땅 이름은 조선 시대 후기부터 사용된 것으로 기록에 전하고 있다. 따라서 장흥면
(長興面)은 백석읍과 더불어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원래 이름이 변하지 않고 남아 있는 지역이다.
[장흥]이라는 이름을 우리말로 풀면 [오래도록 길이 흥한다]가 된다. 땅 이름이 같은 전라남도 장흥
군의 경우 고려 인종(仁宗) 때에 인종의 비인 공예태후(恭睿太后) 임씨의 고향이라 하여 장흥이라고
고친 것으로 볼 때, 양주시 장흥면도 정치적 배려로 이름이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고암동
고암동(古岩洞)이라는 땅 이름은 고장리(高障里)에서 [고]자와 옹암동(甕岩洞)에서 [암]자를 따서 붙
여진 이름이다. 고장리는 고장산에서 유래한 이름이고 옹암동은 독바위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고암
동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이 마을의 대표적인 두 산봉우리에서 왔다고 할 수 있다.


고읍동
고읍동(古邑洞)이라는 이름은 조선 초기에 양주의 치소(治所)가 있던 곳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
이며, 고읍(古邑)·구읍(舊邑)·고읍내(古邑內)·구읍내(舊邑內)라고도 하였다.


광사동

광사동(廣沙洞)이라는 땅 이름은 광암리(廣岩里)에서 [광]자와 삽사동(揷沙洞)에서 [사]자를 따서 합
한 이름이다. 광암리는 넓은 바위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고, 삽사동은 마을 곳곳마다 모래가 많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남방동
남방동(南坊洞)이라는 땅 이름은 읍내면에서 남쪽 끝에 위치한 마을로 방축, 즉 산성이 있다 하여 붙
여진 이름이다. 혹은 신성(新城)에서 남방의 침략을 방어하던 곳이라 하여 원래 남방리(南防里)라 불
렀는데, 세월이 흐르면서 남방리(南坊里)로 와전된 것이라고도 한다.


덕계동
덕계동(德溪洞)이라는 땅 이름은 도덕리(道德里)에서 [덕]자와 돈계리(遯溪里)에서 [계]자를 따서 만
들었다. 도덕리는 도덕을 숭상하는 사람들이 모여 살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돈계리는 조선 중종
때의 문신인 박율의 호에서 따온 이름이다.


덕정동
덕정동이라는 땅 이름의 유래에 여러 이야기가 전해진다. 첫째, 옛 천천면 덕정리 언덕에 정자나무가
있어서 덕정이·덕쟁이·덕정동이라 불렸는데, 이것이 그대로 덕정리가 되었다는 설이다. 둘째, 현
덕정역 북방 20m 지점의 낮은 구릉에 정자가 있어 마을의 원로들과 유생들의 유흥장으로 널리 이용
되어 유산정이라 불렸으나 뜻이 적합하지 못하다 하여 덕정이라 하였다는 설이다. 셋째, 옛날 독 짓
는 사람들이 많이 살았기 때문에 독쟁이, 한자로 옮기는 과정에 덕정이가 되었다고 하는 설이다.


마전동
마전동(麻田洞)이라는 땅 이름은 옛날부터 삼밭이 많아서 삼밭굴·삼밭 또는 마전(麻田)이라 불리다
가 정착된 것이다. 일제 강점기에도 마포(麻圃)가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현지 주민들은 마을 이름이
산삼 및 삼베와 깊은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믿기도 한다.


만송동
만송동(晩松洞)이라는 땅 이름은 회만리(回晩里)의 [만]자와 송랑리(松浪里)의 [송]자를 합해서 나왔
다. 회만리는 회만이를 그대로 한자로 옮긴 것으로, 마을 중앙에 야산이 자리하고 있어 한 동네에서
다른 동네를 갈 때 돌아서 가는 곳이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그러나 일설에는 신라와
당나라의 싸움이 벌어진 매초성 전투에서 당나라 군대가 대패하고 말을 돌린 곳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송랑리는 소나무가 많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봉양동
봉양동(鳳陽洞)이라는 땅 이름은 봉명조양(鳳鳴朝陽)이라는 말에서 따온 것이라고 한다. 봉명조양이
란 봉황새가 산의 동쪽에서 운다는 뜻으로 천하가 태평할 조짐을 이르거나 진귀하고 뛰어난 행위를
칭찬하는 말이다.


산북동
산북동(山北洞)이라는 땅 이름은 양주의 주산인 불곡산뒤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산뒤·산디·산대(山垈)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 지역은 꽃벼루우물이 있어 고려 시대부터 현재까
지 일반적으로 샘내로 불린다. 또는 배양동이라고도 하는데 발음이 변하여 뱀굴로도 불린다.


삼숭동
삼숭동(三崇洞)이라는 땅 이름은 삼가대리(三佳垈里)의 [삼]자와 광숭리(光崇里)의 [숭]자를 합한 이
름이다. 삼가대리는 삼거리에 있는 마을 혹은 세 성씨가 사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광숭
리는 넓은 벌판이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현지 주민들은 상삼동(上三洞)·하삼동(下三洞)·
광숭동(光崇洞)·야촌동(野村洞) 등을 합쳐 옛날매라고도 부른다.


어둔동
어둔동(於屯洞)이라는 땅 이름은 서쪽에 우뚝 솟아 있는 호명산기슭에 위치하고 있어 해지는 시각이
빨라 쉽게 어두워지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혹은 임진왜란 당시 왜병들이 주둔했던 곳이라 하여 애둔
지·왜둔치·왜벌이라고도 하며, 조선 시대 기와를 굽던 곳이라 하여 와평동(瓦坪洞)·와평·왓벌
이 변한 것이라고도 한다.

 

옥정동
옥정동(玉井洞)이라는 땅 이름은 통합 이전의 마을 이름인 옥동리(玉洞里)의 [옥]자와 냉정리(冷井
里)의 [정]자를 합쳐 만든 것이다. 옥동리는 옥같이 아름다운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냉
정리는 맑고 찬 우물물이 나온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율정동
율정동(栗亭洞)이라는 땅 이름은 귀율리(貴栗里)의 [율]자와 모정리(茅亭里)의 [정]자를 따서 만들
어졌다. 귀율리는 밤나무가 많은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모정리는 마을 입구에 초모(草茅)
로 만든 정자가 있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전해진다.


회암동
회암동(檜岩洞)의 옛 이름인 회암리의 땅 이름의 유래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첫째, 옛 회암면 지역
에 회암사(檜巖寺)가 있어 회암골·회암동·회암으로 불렸다는 설이다. 현재까지 확인된 문헌에
따르면 [회암]이라는 땅 이름은 회암사라는 사찰의 이름에서 처음 등장한다. 둘째, 옛날에 전나무
가 많았고 천보산이 응결된 암석으로 이루어져 회암으로 불렀다고도 한다.


회정동
회정동(檜亭洞)의 옛 이름인 회정리라는 땅 이름은 과회리(寡悔里)에서 [회]자와 덕정리(德亭里)에
서 [정]자를 따서 만들었다. 과회리는 과일나무가 많았던 과골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덕정리는 독
을 굽던 사람들이 살아서 붙여진 이름 혹은 덕을 숭상하는 사람들이 모이는 정자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